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배열,객체,조건문 시험-오답노트

김도현2 2023. 3. 3. 16:33
반응형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시험입니다.

다 틀렸다는 마인드로 다시한번 풀어보겠습니다.

 

01.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var x = 100; 
    var y = 200; 
    var z = "javascript"; 

    console.log(__);
    console.log(__);
    console.log(__);

    //100
    //200
    //300
}
결과 확인하기

x, y, x+y
//z에 속지맙시다.

 

02.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let x = 100;
    let y = 200;
    let z = "javascript";

    x = ___;   
    y = ___;
    z = ___;

    console.log(x);
    console.log(y);
    console.log(z);

    //300
    //400
    //jquery
}
결과 확인하기

300, 400, jquery
//값을 새로 선언해주면 됩니다.

 

03.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let x = 100;
    let y = 200;
    let z = "javascript";

    x ___ 300;       
    y ___ 400;       
    z ___ "jquery";  

    console.log(x);
    console.log(y);
    console.log(z);

    //400
    //-200
    //javascriptjquery
}
결과 확인하기

+=, -=, +=
//값을 추가해줍니다.

 

04.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const arr = ________();   

    arr[0] = 100;               
    arr[1] = 200;               
    arr[2] = "javascript";     

    console.log(arr[0]);
    console.log(arr[1]);
    console.log(arr[2]);

    //100
    //200
    //javascript
}
결과 확인하기

new Array
//항상 줄여쓰느라 new Array를 잊지맙시다.(A 대문자 확인)

 

05.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const arr = [___________________];    

    console.log(arr[0]);
    console.log(arr[1]);
    console.log(arr[2]);

    //100
    //200
    //javascript
}
결과 확인하기

100,200,javascript
//배열인지 객체인지 확인잘합시다.

 

06.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const obj = new Object();

    obj[0] = 100;
    obj[1] = 200;
    obj[2] = "javascript";

    console.log(______);
    console.log(______);
    console.log(______);

    //100
    //200
    //javascript
}
결과 확인하기

obj[0], obj[1], obj[2]
배열인지 객체인지 확인 잘합시다.

 

07.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console.log를 사용할 것)

{
    const obj = new Object();
    
    obj.a = 100;
    obj.b = 200;
    obj.c = "javascript";

    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

    //100
    //200
    //javascript
}
결과 확인하기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 console.log(obj.c);

 

08.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const obj = {____________________};

    console.log(obj.a);
    console.log(obj.b);
    console.log(obj.c);

    //100
    //200
    //javascript
}
결과 확인하기

{a: 100, b:200, c:"javascript"}

 

 

09.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const obj = [
        {a:100, b:200},
        {c:"javascript"}
    ];

    console.log(________);
    console.log(________);
    console.log(________);

    //100
    //200
    //javascript
}
결과 확인하기

obj[0].a, obj[0].b, obj[1].c
//배열과 객체가 섞인 문제라 문법이 틀리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10.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const obj = {
        a: 100,
        b: [200, 300],
        c: "javascript"
    }
    console.log(________);
    console.log(________);
    console.log(________);

    //200
    //300
    //200300
}
결과 확인하기

obj.b[0], obj.b[1], obj.b
//문법에 틀리지 않게 잘 작성해야합니다.

 

11.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const a = 100;
    const b = 200;
    const c = "javascript";

    const obj = { _________ }

    document.write(obj.a);
    document.write(obj.b);
    document.write(obj.c);

    //100
    //200
    //javascript
}
결과 확인하기

a, b, c

 

12. 다음의 출력값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
    const obj = {
        a: 100,
        b: [200, ____],
        c: "javascript",
        d: _________(){
            document.write("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
        },
        e: function(){
            document.write( _______ + "가 실행되었습니다.");    //변수값 사용
        },
        f: function(){
            document.write( _______ + "가 실행되었습니다.");    //this를 사용
        }
    }

    document.write(obj.a);
    document.write(obj.b);
    document.write(obj.b[0]);
    document.write(obj.b[1]);
    document.write(obj.c);
    obj.d();
    obj.e();
    obj.f();

    //100
    //200,300
    //200
    //300
    //javascript
    //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
    //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
    //javascript가 실행되었습니다.
}
결과 확인하기

300, function, obj.c, this.c

 

13.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

{
    for( let i=1; i<10; i++){
        if(i % 2 == 0) {
            document.write(i);
        }
    }
}
결과 확인하기

2468
//0, 10이 나오지 않게 조건문을 잘 봐야 합니다.

 

14.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

{
    for( let i=1; i<10; i++){
        if( true ) {
            document.write(i);
        }
    }
}
결과 확인하기

123456789
//true는 조건이 실행된다는 뜻입니다. 0과 10이 나오지 않게 조건문 확인을 잘 해야합니다.

 

15.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

{
    const func = function(){
        document.write("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
    }
    func();
}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
//익명 함수입니다.

 

16.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

{
    if( 1 ){
        document.write("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true)");
    } else {
        document.write("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false)");
    }
}
결과 확인하기

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true)
//1은 숫자열이니 true가 됩니다. 조건문이 실행됩니다.

 

17.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

{
    let num = 10;

    if( num == 100 ){
        document.write("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1)");
        if( num == 100 ){
            document.write("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2)");
            if( num == 100){
                document.write("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3)");
            }
        }
    } else {
        document.write("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4)");
    }
}
결과 확인하기

조건문이 실행되었습니다.(4)
//아무 조건문에 걸리지 않아 else문으로 갑니다.

 

18.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

{
    let num = 10;

    (num == 100) ? document.write("true") : document.write("false");
}
결과 확인하기

false
//삼항문 10 == 100이 아니므로 오른쪽에 있는 false가 뜨게됩니다.

 

19.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

{
    let num = 0;
    while( num <= 5 ){
        document.write( num + ". 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  
        num++;
    }
}
결과 확인하기

0.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
1.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
2.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
3.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
4.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
5.반복문이 실행되었습니다.
//조건문 부등호를 잘확인하여 몇번 반복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0. 다음의 결괏값을 완성하시오.

{
    const str = [100, 200, 300, 400, 500];

    str.forEach((element, index, array) =>l {
        document.write(element);
        document.write(index);
        document.write(array);
    });
}
결과 확인하기

100 0 100200300400500
200 1 100200300400500
300 2 100200300400500
400 3 100200300400500
500 4 100200300400500
//element = 배열의 요소를 순차적으로 가져옵니다.
//index = 배열의 요소순서를 가져옵니다.
//array = 배열의 요소를 한꺼번에 가져옵니다.

 

 

 

 

배열과 객체가 섞이면 어떻게 써야할지 잘 까먹는거같습니다.

저는 아직 멀었나봅니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