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헷갈리는 함수 이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김도현2 2023. 3. 5. 16:00
반응형

함수

함수는 입력값을 받아서 출력값을 반환하는 것으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함수는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며,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주는 기본적인 도구입니다.

 

 

 

function functionName(parameters) {
  // 함수 내용
  return value; // 반환값
}

위의 코드에서 functionName은 함수의 이름이며, parameters는 함수의 매개변수를 나타냅니다.

함수 내용은 중괄호({}) 안에 작성되며, 함수가 반환하는 값은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명시합니다.

함수 내부에서 return문이 없는 경우, 함수는 undefined 값을 반환합니다.

 

 

 

 

함수를 호출할 때는 함수 이름 뒤에 괄호()를 붙여서 호출합니다. 매개변수가 있는 경우, 괄호 안에 값을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매개변수가 두 개인 함수 add를 호출하는 예시입니다.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let result = add(2, 3); // 5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로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익명 함수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하고, 변수에 할당하는 예시입니다.

 

let multiply = function(a, b) {
  return a * b;
}

let result = multiply(2, 3); // 6

 

 

 

 

화살표 함수는 함수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함수 내부의 this값을 외부 스코프에서 상속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하는 예시입니다.

 

let square = (x) => {
  return x * x;
}

let result = square(2); // 4

 

 

리턴에 대해 자세히

리턴값이 있는 함수

결과 값이 있는 함수입니다. ruture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함수의 결과값을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리턴값은 실행문을 강제로 종료하는 역할도 합니다.

 

function func(){
    document.write("리턴은 종료이기 때문에"); 
    return ;
    document.write("밑에 값은 안나옵니다.");
}
func(); //리턴은 종료이기 때문에

밑에 출력값은 바로 위에 리턴이 있기때문에 함수가 종료된 모습입니다.

 

 

const user = prompt("나이를 입력해 주세요.");
            
function checkAge(user) {
    if (user > 19) {
        return '성인입니다.';
    } else {
        return '미성년자입니다.';
    }
}

document.write(checkAge(user)); // user=52 성인입니다.

이런 나이제한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let user1 = prompt("행(세로)을 몇줄로 하시겠습니까?");
let user2 = prompt("열(가로)을 몇줄로 하시겠습니까?");

function table(){
    let table = "<table border='1'>";
    let num = 1;
    for(let i=0; i<user1; i++){
        table += "<tr>";

            for(let j=1; j<=user2; j++){
                table += "<td>"+num+"</td>";
                num++
        }
        table += "</tr>";
    }
    table += "</table>";
    return table; 
}
document.write(table());

그리고 우리가 많이 만들었던 테이블.. 

 

함수로 만들어 table() 만 불러오면 테이블을 몇줄짜리로 만들거냐고 물으러 온다.

 

 

 

See the Pen Untitled by ehcjswo (@ehcjswo) on CodePen.